UXUI 아티클
[UX/UI]아티클스터디(UX 디자인을 위한 휴리스틱 평가)
힝구쓰
2024. 3. 20. 00:59
320x100
SMALL
🔗 출처 : UX 디자인을 위한 휴리스틱 평가
✅ UX 방법론 필수 기법, 휴리스틱 평가
- 휴리스틱 평가는 사용성을 평가하는 것, 제품이 인간의 인지적 오류를 줄여줄 수 있는 방향으로 디자인되었는지, 유용한 정보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제품 이용 과정에서 정서적 만족을 느끼는지를 함께 평가한다.
✅ 휴리스틱 평가란?
- 그리스어로 ‘발견하다’의 의미, 인터페이스 디자인에서 사용성의 문제를 찾기 위한 사용성 엔지니어링 방법론으로 일반적인 설계 법칙이다. ‘계획 - 평가자 결정 - 실행 - 분석’의 단계로 구성.
- 휴리스틱 준수 여부는 사용성 전문가들이 판단하고, 시스템 개발 혹은 평가에 이용된다.
✅ 제이콥 닐슨의 10가지 휴리스틱 평가가 이루어지는 방법
시스템 상태의 시각화 (Visibility of System Status)
- 시스템은 피드백을 통해 사용자에게 진행되고 있는 일에 대해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해야 함.
- 아이콘 선택될 때 명확히 표시되는지, 키를 누를 때마다 피드백과 앱/화면의 목적에 부합하는 콘텐츠가 시각적 위계 관계에 맞게 명확히 표현되는지 등 (ex. 소프트웨어 및 앱 업데이트)
실제 같은 표현 (Match Between System and the Real World)
- 시스템에서 도출된 용어들이 아닌 사용자의 실제 단어와 문구 등을 사용
사용자 제어 및 자유 (User Control and Freedom)
- 사용자에게 책임 부여하고 작업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권한을 줘야한다. 반드시 ‘되돌아가기’와 같은 기능을 통해 실수를 되돌릴 수 있어야 한다.
일관성과 기준 (Consistency and Standards)
- UI 문구나 인터랙션 등이 페이지별로 다르면 안되고, 디자인 시스템과 같은 기준이 필요
- T map’과 ‘카카오내비’, ‘네이버 지도’와 ‘카카오맵’, ’배달의 민족’과 ‘쿠팡이츠’, ‘11번가’와 ‘지마켓’은 서로 경쟁하되 공유해야 하는 시스템 속성을 갖고 있음.
에러 방지 (Error Prevention)
- 오류가 발생하기 쉬운 조건을 제지하거나, 오류를 확인하고 사용자에게 확인 옵션을 제공 (ex. 삭제버튼 클릭 시 의사 확인 팝업창 생성)
기억보단 인식 (Recognition Rather than Recall)
- 별도 학습 없이 쉽게 인식할 수 있어야 함.
- 검색 바와 함께 연관 태그 모음을 같이 제공 (ex. 네이버 검색, 유튜브 검색 태그)
유연하고 효율적인 사용 (Flexibility and Efficiency of Use)
- 사용자 수준이 다를 수 있어 사용자 모두를 포괄할 수 있는 커스텀 기능을 통해 시스템의 유연함을 갖춰야 함. (ex.피그마 단축키)
심미적이고 간결한 디자인 (Aesthetic and Minimalist Design)
- 관련 없는, 불필요한 정보가 포함되지 않도록 콘텐츠/기능에 우선순위가 높은 것을 잘 제공하고 있는지 확인해야 함. (ex. 카카오 뱅크 - 기능을 표현한 이미지와 특징, 상품 이해)
사용자가 오류를 인식, 진단, 복구하도록 지원 (Help Users Recognize, Diagnose, and Recover from Errors)
- 사용자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문제를 정확히 표시 및 해결 방법 안내해야 함.
- 일반적인 언어 표현, 하이라이트 같은 시각적인 요소 활용 (ex. 회원가입 시 비밀번호 설정 단계)
도움말과 메뉴얼(Help and Documentation)
- 사용자의 학습을 돕기 위한 도움말 제공 필요. 도움말은 쉬운 접근과 이해, 그리고 정확해야 함 (ex. 구글 도움말, 네이버앱 사용팀)
✅ 휴리스틱 평가 분석
- 무엇을 어떻게 테스트 할지 파악
- 타깃의 목적과 맥락등을 정의
- 3~5명의 평가자 정하기
- 휴리스틱 평가 지표 정의 (5~10개정도)
- 선택된 과업 중 다룰 내용에 대해 평가자들에게 설명
- 1차 진행 - 자유 사용하며, 분석 요소 발경
- 2차 진행 - 휴리스틱에 따라 개별 요소를 면밀히 조사
- 진행한 세션에 대해 설명 듣고, 종합한 분석 결과와 함께 수정 사항을 제안
✅ 왜 휴리스틱을 UX 디자인에 사용해야할까
- 정보 부족과 시간 제약으로 완벽한 의사결정을 할 수 없을 때, 이런 경우를 대비해 현실적으로 만족할 만한 수준의 빠르게 해결책에 접근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자주 사용됨.
✅ 휴리스틱 평가의 장점과 한계점
장점
- 전문가 평가만으로 사용성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방안을 도출
- 비용 및 시간을 단축
- 문제에 대한 우선 순위를 제시
- 인터페이스에 대한 문제와 솔루션을 빠르게 제공 및 신속한 수정가능
한계점
- 많은 지식과 전문성 필요
- 지식과 전문성을 모두 갖춘 전문가를 찾기 어려움
- 휴리스틱 평가 척도에 벗어나는 문제는 확인이 어려움
- 인터페이스에 대한 문제만 확인 가능, 서비스 전반에 대한 확인은 힘듦
- 고정관념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판단 과정에서 편향이나 오류가 발생
💬 코멘트
휴리스틱 평가 10가지를 보면 내가 자주 사용하는 웹이나 컴퓨터에서 실제로 경험해본 것들이 많았다. 사용자가 어렵지 않게, 이해하기 쉽도록 매뉴얼화 되어있는 부분들이 어디에서나 적용할 수 있을 것 같고, 필요성을 느꼈다.
미션2) 웹 클론 알아보기
- 존재하는 웹 페이지를 똑같이 따라 만들어 보는 작업을 의미
- 만들어진 웹을 가이드 삼아 모방해서 만들어 보는 UX/UI 디자인 학습법으로 좋은 레이아웃, 구성들을 자연스럽게 익히고 실력 향상에 도움을 줌
728x90
SM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