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X/UI] UX 기획 및 리서치 1주차 강의 요약

2024. 4. 3. 20:27UXUI 스터디・강의・기록

320x100
SMALL

UX/UI 개념 이해

1) UX (User experience, 사용자 경험) : 유저가 제품이나 서비스와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얻는 모든 경험
    - UX는 디지털 뿐만 아니라 오프라인에서의 경험 또한 포괄하는 개념으로, 모든 감각을 활용하는 다양한 경험을 고려
2) UI (User Interface, 사용자 인터페이스) : 유저가 최종적으로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할 때 맞닿는 시각적 구성 요소

 

UX vs UI 

 

UX/UI 디자인 프로세스

✴️ 더블 다이아몬드 모형
 - 문제 정의와 문제 해결에 초점을 둔 디자인 프로세스 모형이에요. 아이디어의 발산과 수렴 과정을 나타내는 4단계로 구성

 

✴️ 더블 다이아몬드 모형 - 해결해야 할 문제 찾기 

1) 발견(Discover) 단계
  • 무엇이 문제인지를 발견하고 이해하는 단계
  • 유저 리서치를 진행하며, 이 과정에서 문제가 여러 개 발견될 수도 있음
  • 대표적인 활동 : 유저 리서치 (데스크 리서치, 필드 리서치)
2) 정의(Define) 단계
  • 집중할 문제가 무엇인지 정의하는 단계
  • 유저 리서치 결과물을 분석하고 정리하며, 이 과정에서 어떤 문제에 집중할 지 논리를 정립
  • 대표적인 활동 : 어피니티 다이어그램, 유저 페르소나 작성 등

 

✴️ 더블 다이아몬드 모형 - 해결책 찾기 

3) 발전(Develop) 단계
  • 문제 해결을 위한 아이데이션을 진행하는 단계
  •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발산하되, 제한을 두기보다 다양한 방향을 열어두고 고민하는 것이 중요
  • 대표적인 활동 : 정보구조도, 와이어프레임 등
4) 전달(Deliver) 단계
  • 디자인을 구현하여 유저에게 제공하는 단계
  • 프로토타입 제작 후 사용성 테스트를 해보면서 개선을 거듭함
  • 대표적인 활동 : 최종 프로토타입, 사용성 테스트 등

 

✴️ 더블 다이아몬드 모형의 4가지 핵심 원칙

- 더블 다이아몬드 모형을 제안한 영국 디자인 협회에서는 효율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아래의 원칙을 지킬 것을 권고하고 있음.
- 문제 해결자들이 유저를 우선으로 고려하며, 시각적이고 포용적인 소통을 기반으로 협력과 공동 작업을 진행하고, 이터레이션을 통해 반복적으로 개선할 것을 강조하고 있어요

 

✴️ 더블 다이아몬드 모형에 대한 오해와 한계점

더블 다이아몬드 모형 또한 하나의 방법론으로, 목적이 아닌 수단이라는 점

 

1) 오해

  • 선형적인 프로세스라는 오해를 받아요.
  • 고정된 단계라는 오해를 받아요.

 

2) 한계

  • 모든 디자인 프로세스를 설명하지는 못해요.
  • 복잡한 프로젝트나 대규모 서비스에서는 한계가 있어요.

 

Lean UX와 MVP

 

1) Lean UX 프로세스

유저 피드백을 데이터로 측정하고 반복적으로 디자인과 기능을 개선하는 과정을 거쳐 더 나은 유저 경험을 제공하는 프로세스

 

Lean UX 프로세스가 널리 활용되는 이유

  • 클라우드의 발전으로 실시간 협업이 활발해
  • 분석 툴의 발전으로 데이터를 통해 임팩트를 측정하기 용이해짐
  • 치열한 시장 경쟁에서 살아남기에 적합

 

MVP(Minimum Viable Product, 최소 기능 제품)

최소한의 리소스로 앞으로 더 많은 자원을 투자할 가치가 있을 지 판단할 수 있다.

728x90
SM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