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XUI]아티클 스터디(“디자인으로 지구를 지킨다고?” 주목 받는 친환경 UX 디자인)

2024. 4. 11. 10:45UXUI 아티클

320x100
SMALL

🔗 출처

✅ 요약

  • 친환경 UX 디자인 = 지속 가능한 UX 디자인 = 그린 UX 디자인
  • 특징
    • 기존 UX 디자인의 사용성에 환경적 책임감을 더하고 사용자가 환경에 미치는 탄소 발자국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 디지털 제품 서비스 집중(인지도가 낮아서)
  • 필요성
    • 소프트웨어, 인터넷 서버가 필요로 하는 대량의 에너지 등 디지털 제품의 영향은 간과하는 경우가 많다
    • 온라인 탄소 특정 사이트인 **‘웹사이트 카본’**에 의하면 웹페이지 하나를 볼 때마다 평균적으로 이산화탄소 1.76g이 배출됨(트래픽 10만은 1760kg = 김포공항→도쿄하네다공항 왕복4차례운항 = 내연기관 자동차가 1년동안 배출하는 양)
  • 대표적인 방법 (UI 디자인 개선)
    • 다크 모드와 폰트 최적화로 이루는 친환경 → 아몰레드 디스플레이 기준 최대 63%까지 줄여 배터리 및 모니터 화면 전력 소모에 도움을 준다. 구글 폰트 같은 온라인 폰트 호스팅 업체를 사용하거나, OTF나 TTF 파일 대신 WOFF 같은 파일 확장자를 사용 (‘지속 가능한 웹 디자인(Sustainable Web Design)’)
    • 이미지와 영상을 최소화하는 과감한 선택 → SVG 그래픽을 선택한다면, 이미지 크기를 축소하는 데 도움되며 압축 도구를 사용해, 이미지 크기를 더 축소할 수 있음. (‘포르마판타스마(FROMAFANSMA)’의 웹사이트) - 보고 있는 이미지의 크기를 노출, 사용자가 원치 않는 이미지 콘텐츠 로딩을 회피할 수 있는 선택지를 제공**)**
    • 외형 대신 내적 구조 개편도 가능 → 필요한 스크립트를 제거하고, 코드를 줄이고, 캐싱 방식을 최적화, CDN에 저장하는 방법 (‘클리어스톤 에너지’) 구글의 재생에너지 사용 → 전 세계 구글 데이터 센터 전력의 재생 에너지화, 자체 풍력·태양광 발전소 건설을 통해 웹사이트 및 서버 무탄소 여정을 이어나감
    • 친환경도 좋지만 사용성이 함께해야 → 사용자의 참여를 낮춰 존재의의를 잃어버릴 수 있기 때문에 기본적인 목적에 충실해야 한다는 점

💬 코멘트

코드를 줄이는 것은 개발자의 역할이 중요할 것 같다. UX/UI 디자이너로서의 친환경 디자인을 위해 생각해본다면 사용성의 중심을 놓치지 않고 간결하지만 불편하지 않도록 노력해야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요즘 사이트들을 보면 2D를 넘어 3D로 보여지는 추세인데 3D 웹에 경우 어떻게 친환경적인 디자인을 할 수 있을지 궁금해졌다.
728x90
SM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