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배움캠프(118)
-
[UX/UI 3기 내배캠] 9주차 팀프로젝트 UX 디자인 ➡️ SRT (2)
2024.04.16 - [UXUI 프로젝트] - [UX/UI 3기 내배캠] 9주차 팀프로젝트 UX 디자인 ➡️ SRT (1) [UX/UI 3기 내배캠] 9주차 팀프로젝트 UX 디자인 ➡️ SRT (1) 오늘 팀프로젝트 UX 디자인 발제가 되었다. 또 한 주동안 빡세게 작업을 해야하는게 익숙하면서도 또 다른 팀원들과 작업하는 것이 새롭기도 하다. 다시 처음부터 만들어 쌓아 올린다는게 참 쉽 hihx.tistory.com 오늘은 경쟁사 분석과 포지셔닝 맵핑을 진행하고 핵심 유저 플로우 차트까지 작업했다. 꽤 순식간에 끝이났다. 그리고 오늘 인터뷰를 진행했는데 인터뷰가 정말정말 어려운것을 느꼈다... 📌 참고사이트 노션으로 회고하는 방법 매일, 매주, 매월, 매년 회고하기 회고 덕후가 노션으로 회고하는 법 |..
2024.04.17 -
[UX/UI 3기 내배캠] 9주차 팀프로젝트 UX 디자인 ➡️ SRT (1)
오늘 팀프로젝트 UX 디자인 발제가 되었다. 또 한 주동안 빡세게 작업을 해야하는게 익숙하면서도 또 다른 팀원들과 작업하는 것이 새롭기도 하다. 다시 처음부터 만들어 쌓아 올린다는게 참 쉽지 않은 일이다. 우리 팀은 우선 일정을 대략적으로 잡고 시작했다. 5일밖에 없기 때문에 초반에 왕창해야했다. 오늘 받았지만 오늘 서비스를 선정하고 선정 이유와 데스크 리서치를 통해 기업과 핵심 서비스, 핵심 유저 행동을 분석했다. 추가로 VoC분석을 통해 대략적으로 유저의 페인 포인트를 정리할 수 있었다. 그리고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기 위해 대상자 모집 공고를 작성해 슬랙에 올리고 인터뷰를 하기 위한 기초 질문지를 작성했다. 하루만에 정리하려니까 시간도 시간이고 내 머리도 생각도 전부 멈췄다...ㅎㅎ 5개의 서비스에서..
2024.04.16 -
[UXUI 아티클 스터디] 서울 명동 버스 대란: 실패한 UX 디자인
🔗 출처 서울 명동 버스 대란: 실패한 UX 디자인 ✅ 요약 서울시가 중구 ‘명동입구’ 광역 버스 정류장에 도입한 ‘노선별 대기판’ 운영을 9일만에 중단 운영 변경하게 된 이유 : 이태원 참사 이후 안전을 위해 입석을 금지, 경기도행 광역 버스가 29개로 늘어나면서 혼잡해짐. (정해진 줄을 섰지만 버스가 내 위치에 서지 않음) 변경 전 : 바닥에 적힌 노선 번호에 맞게 줄을 서고, 사람이 많을 땐 정해진 바닥에 줄을 서지 않았음. 변경 후 : 노선별 대기판 13개를 1m 간격으로 세움, 비슷한 방향의 노선을 2~3개 묶어 정차 장소로 지정 결과 : 정류소 주차 공간이 좁아 버스 진입 시간과 차선이 좁아 버스가 출차하는 시간이 늘고 해당 버스 번호에 정차하기 위해 앞 버스가 떠날 때까지 기다려야 함. → ..
2024.04.15 -
[UX/UI] 8주차 디자인 심화 개인과제(심층인터뷰와 A/B테스트 설계) - 3
2024.04.09 - [UXUI 프로젝트] - [UX/UI] 8주차 디자인 심화 개인과제(심층인터뷰와 A/B테스트 설계) - 1 [UX/UI] 8주차 디자인 심화 개인과제(심층인터뷰와 A/B테스트 설계) - 1 오늘 개인과제가 발제되었다. 저번에는 UI를 중점으로 UX를 다뤘다면 이번 과제는 UX의 리서치와 테스트를 기반으로 진행한 것 같다. UI까지는 대부분 눈치껏 알 수 있었지만 인터뷰나 테스트에 hihx.tistory.com 2024.04.12 - [UXUI 프로젝트] - [UX/UI] 8주차 디자인 심화 개인과제(심층인터뷰와 A/B테스트 설계) - 2 [UX/UI] 8주차 디자인 심화 개인과제(심층인터뷰와 A/B테스트 설계) - 2 2024.04.09 - [UXUI 프로젝트] - [UX/UI] ..
2024.04.15 -
[UX/UI] 8주차 수준별 학습(챌린지반) 1주차 과제
✅ 실현 가능한 목표 설정 및 직업적 성향 탐색 이름 : 이희수 백그라운드 : 시각디자인 / 웹 기획 및 디자이너 내배캠에서 흥미로웠던 과제 : UI 분석 기반 클론디자인, 서비스 선정 후 서비스에 대한 분석과 페르소나 정의 등 문제를 도출하고 완벽한 검증은 아니지만 그것을 개선하는 과정 자체가 재밌었다. 가장 도전적이었던 작업과 해결 과정 : 팀소개페이지 만들기, 처음이라 눈에 뵈는거 없이 이것저것 유튜브 및 인터넷을 보며 도전했던 기억이 있다. 특히 프로토타입에서 하고 싶은 기능을 하기 위해 엄청난 서치와 연습이 필요했고 완벽하지는 않지만 어느정도 구현하고 심화과정을 거쳐보며 내 것으로 만들었다. 상대적으로 쉽게 느껴졌던 작업과 그 이유 : 클론디자인, 피그마에서 작업은 처음이지만 자주 해봤던 작업이..
2024.04.13 -
[UXUI 아티클 스터디]고객 중심 프로덕트 개선에 ‘A/B 테스트’ 왜 필수일까?
🔗 출처 유저 리서치와 데이터 분석의 협업이 중요한 이유(학부모가 왜 콴다를 사용하나요?) ✅ 요약 💡 온라인 통제 실험(Online controlled experiments) = A/B 테스트 : 제품의 기능이나 서비스에 작은 변화를 주어, 지속적으로 테스트하며 제품을 개선해 나가는 방법론 (고객 중심으로 프로덕트를 개선하고자 하는 기업에 매우 중요한 방법론) 온라인 통제 실험이란? 우리 제품을 사용하는 고객 무작위 추출 (실험군(treatment group) / 대조군(control group) = 5:5 비율) 우리 제품에 관한 도메인 지식, 그 이전의 고객 분석 결과, 실험 결과 등을 바탕으로 가설을 세우고, 이 가설을 기반한 실험적 기능을 제품에 반영 (실험적 기능 = UI, 추천 시스템 또는 ..
2024.04.12 -
[UX/UI] UX 기획 및 리서치 5주차 강의 요약 - 사용성 테스트, 휴리스틱평가 2
2024.04.11 - [UXUI 스터디・강의・기록] - [UX/UI] UX 기획 및 리서치 5주차 강의 요약 - 사용성 테스트 1 [UX/UI] UX 기획 및 리서치 5주차 강의 요약 - 사용성 테스트 1 1. 사용성 테스트의 개념과 중요성 1) 사용성 테스트의 개념 사용성 테스트(Usability Test; UT)는 프로토타입이 있다면 제품 개발 단계 중 언제든 활용할 수 있음 유저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실제 사용 hihx.tistory.com 4. 사용성 테스트 결과 정리 1) 사용성 테스트 결과 정리하기 문제점 도출 → 원인 도출 → 개선 방향 도출을 통해 결과를 정리 문제점 도출 참가자의 생각과 행동에 대한 기록을 종합하여 문제점을 파악. 진행자와 관찰자의 기록을 종합하여 문제점을 파악. 원인 도..
2024.04.11 -
[UX/UI] UX 기획 및 리서치 5주차 강의 요약 - 사용성 테스트 1
1. 사용성 테스트의 개념과 중요성 1) 사용성 테스트의 개념 사용성 테스트(Usability Test; UT)는 프로토타입이 있다면 제품 개발 단계 중 언제든 활용할 수 있음 유저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실제 사용할 때 의도한 시나리오에 따라 테스크를 수행하는 지, 문제점은 없는지 관찰하기 위해 진행. 유저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할 때 어떤 생각을 가지고 어떤 혼란을 겪는지 파악. 제품 개선 전에 진행하면 유저가 불편하게 생각하는 부분, 제품 개선 후에 진행하면 유저가 실제 어떻게 사용하는지를 파악 2) 사용성 테스트의 중요성 사용성 테스트를 하는 이유는 우리가 사용자가 아니기 때문, 프로젝트에 대해 너무 많이 알기 때문에 편향을 가지고 있음. 유저가 화면을 직접 조작하면서 마주치는 문제를 식별할 수 있..
2024.04.11 -
[UXUI]아티클 스터디(“유저 리서치와 데이터 분석의 협업이 중요한 이유 -학부모가 왜 콴다를 사용하나요?)
🔗 출처 유저 리서치와 데이터 분석의 협업이 중요한 이유(학부모가 왜 콴다를 사용하나요?) 인식론이란 무엇입니까?(What Is Epistemology?) ✅ 요약 K=JTB 공식 (Knowledge = Justified True Belief 라는 의미. 즉 무언가를 ‘안다’고 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가진 어떤 믿음이 정당화되었는지, 그리고 참인지 여부를 확인해봐야 하는 것) 1. 무엇을 알고자 했는가 콴다를 사용하는 학부모들이 있는데, 이들은 왜 콴다를 사용할까? 2. 실체적 데이터 발굴을 위한 설계 (설문조사를 통해 페르소나 분류) 자가 응답 방식의 데이터 수집 방법인 설문 조사를 통해 페르소나를 분류해보는 것(학부모 모드를 이용하고 있는 학생의 의견이 포함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고등자녀를 둔 학부모..
2024.04.11 -
[UXUI]아티클 스터디(“디자인으로 지구를 지킨다고?” 주목 받는 친환경 UX 디자인)
🔗 출처 “디자인으로 지구를 지킨다고?” 주목 받는 친환경 UX 디자인 ✅ 요약 친환경 UX 디자인 = 지속 가능한 UX 디자인 = 그린 UX 디자인 특징 기존 UX 디자인의 사용성에 환경적 책임감을 더하고 사용자가 환경에 미치는 탄소 발자국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 디지털 제품 서비스 집중(인지도가 낮아서) 필요성 소프트웨어, 인터넷 서버가 필요로 하는 대량의 에너지 등 디지털 제품의 영향은 간과하는 경우가 많다 온라인 탄소 특정 사이트인 **‘웹사이트 카본’**에 의하면 웹페이지 하나를 볼 때마다 평균적으로 이산화탄소 1.76g이 배출됨(트래픽 10만은 1760kg = 김포공항→도쿄하네다공항 왕복4차례운항 = 내연기관 자동차가 1년동안 배출하는 양) 대표적인 방법 (UI 디자인 개선) 다크 모드와 폰..
2024.04.11